아래 자료는 참고만 하시고 산부인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으시길.
응급 피임법.
자료 참조 : 피임 연구회 http://www.piim.or.kr
배란기라고 생각되는 시기에 피치 못할 사정으로 피임이 되지 않았을 경우,
즉 성교 직후 대처할 수 있는 피임법을 응급피임법이라고 합니다.
부연하면, 계획되지 않은 성교가 있었거나, 콘돔을 사용하였는데 찢어졌다든지
하여 사용한 피임방법이 불확실하였을 때,
또는 강간 등의 불시의 성교 후 임신을 방지하기 위한 피임법입니다.
응급피임법에는 응급피임약제를 복용하는 방법과
자궁내장치(루-프)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응급피임약제는 성교 후 72시간 내에 고용량의 복합호르몬제를
12시간 간격으로 2회 복용하는 방법입니다.
과거에는 더욱 고용량의 호르몬을 5일간 사용하였는데 이 방법으로 실패하여
임신이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중절수술을 하도록 할 정도로
태아에 미치는 악영향이 컸습니다.
최근에는 호르몬제의 종류와 용량이 개선되어 1974년에 최초로 기술된 이래
1996년 미국 FDA에서 승인된 몇 가지의 처방법으로 응급피임법이 정착되었습니다.
유럽지역에서는 응급피임제로 따로 생산되고 있습니다.
이는 전문의약품이므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,
처방전을 받아 약국에서 구입하도록 하여야 합니다.
이는 성교 후 72시간 내에 1회 복용하고 그 후 12시간 후 다시 1회 복용하여야
하는 방법으로써 피임률은 약 75% 정도로 되어 있습니다.
즉 4명 중 1명 꼴은 응급피임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됩니다.
그러므로 응급피임제를 복용 후에는 2-3주 이내에 정상적인 월경을 하는지
반드시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.
과거의 고용량 에스트라디올 제제를 5일 간 썼을 경우에는 임신으로
연결되었을 때 반드시 중절하여야 하지만,
최근의 약제는 배란 5일 이내에 복용한 것이 확인된다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
거의 없어서 원한다면 임신을 지속하여도 무방합니다.
그러나 생리적으로 고용량의 호르몬에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에
이 방법은 말 그대로 응급의 상황에서만 사용하여야 하며 일반적인
피임법으로 남용되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.
응급피임약제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처방 받도록 하면 됩니다.
만일 배란기에 무방비의 성교를 가진 후 3일이 지났다면
성교 후 5일이 지나기 전에 자궁내피임장치(루-프)를 삽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이 방법은 되도록 출산 경력이 있는 여성이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
추후 계속 피임을 원할 경우에는 원하는 기간동안 제거하지 않고
계속 피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